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소방/연소] 산화환원반응에서 산화, 산화제, 환원, 환원제란 무엇인가(정의, 종류, 차이점, 공통점)

카테고리 없음

by 취공 2020. 8. 1. 16:54

본문

연소공학분야에서 산화환원반응은 아주 기초적이지만 중요한 부분입니다.

산화와 환원의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, 산화의 정의와 환원의 정의를 알아야합니다.

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들을 설명하려합니다.

 

1. 산화(전자를 잃고 산화수 증가)

-다른 물질에서 전자를 제거한다; , 그것은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고, 따라서 자체가 줄어든다. 그리고, 전자를 "수용"하기 때문에, 전자 수용체라고도 한다.

-분자, 원자 또는 이온에 의한 전자의 손실이나 산화 상태의 증가다.

 

1-1. 산화제

1) 산화-환원방응에서 상대 물질을 산화시키고 자신은 환원되는 물질

2) 종류 : 산소, 오존, 염소, 과산화수소, 질산, 황산, 이산화염소

 

2. 환원(전자를 얻고 산화수 감소)

-다른 물질로 전자를 전달한다; , 그것은 다른 물질을 감소시키고, 따라서 자체가 산화된다. 그리고, 전자를 "기부"하기 때문에, 전자 기증자라고도 한다.

-분자, 원자 또는 이온에 의한 전자의 이득 또는 산화 상태의 감소다.

 

2-2. 환원제

1) 산화-환원방응에서 상대 물질을 환원시키고 자신은 산화되는 물질

2) 종류 : 수소, 일산화탄소, 황화수고, 탄소, 탄화수소, 아연

 

이산화황과 과산화수소는 산화제,환원제 모두에 해당된다.

산화

환원

- 산소 원자를 얻는다

- 수소 원자를 잃는다

-전자를 잃는다

-산화수가 증가한다

- 산소 원자를 잃는다

- 수소 원자를 얻는다

-전자를 얻는다

-산화수가 감소한다

댓글 영역